레이블이 음성컨텐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음성컨텐츠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7년 9월 3일 월요일

VoIP는 Mashup이 가능할 것인가?

지난 번에 소개해 드렸던 Skype Mashup Contest가 지난 8월31일자로 출품작을 마감했다고 한다. 심사를 거쳐 9월12~13일 체코 프라하에서 수상작을 발표하게 된다고 하는데, 북미나 유럽에서 참가한 사람 중 수상자는 프라하로 직접 초대를 받는다고 하며, 아시아 및 호주 수상자는 10월 일본 동경으로 초청을 받는다고 한다.

이번 컨테스트에 출품된 Mashup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데, 본 블로그를 통해서 이미 소개된 것들도 포함되어 있다.


  • Anothr: Skype-based RSS Reader. 오래전에 본 블로그를 통해 소개해 드렸는데, 이번 컨테스트에 참가한 것이 좀 의외다. Skype 채팅 창으로 자신이 찍은 컨텐츠를 구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지난 번에 테스트해봤을 때 한글이 깨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번에는 수정이 되었는지 모르겠다.
  • BitWine: Let’s you Search, Buy, and Sell services. 이 서비스 또한 본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적이 있는데.. Skype Prime과 비슷한 서비스이다. 국내 060 서비스와 비슷하게 Skype를 통해 실시간 음성정보를 판매하는 서비스이다. BitWine 서비스를 벤치마킹해서 Skype Prime 서비스를 만든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한 서비스이다.
  • Facebook Call Me on Skype: facebook-Skype presence mashup. 이게 Mashup 기준에 해당할지 의문스럽지만.. 최근 FaceBook에 스카이프 통화가 가능한 CallMe 버튼이 런칭되었다. Skype 이외에 Facebook에는 Jaxtr가 이런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JiWire: Hotspot Finder
  • MessageGroups: Find people to chat/talk to by topic
  • messagr.com: Find Skype users to talk to in this directory
  • MyToGo: Remote access to your Skype from a phone. 이 서비스는 Skype To Go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Mashup이다. Skype To Go는 IP뿐만 아니라 일반 PSTN 환경에서 Skype가 제공하는 저렴한 요금으로 전화를 걸 수 있는 서비스이다.
  • PamBot: Pulls information from the web from a chat
  • PamFax: Send faxes from Skype. 이 서비스도 이미 본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적이 있는데, Skype에서 Fax를 보낼 수 있는 서비스이다. Mashup의 기준이 좀 애매한데.. SkypeAPI를 하나라도 이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는 Skype에 로그인하는 것 외에 Skype 통화 기능을 이용하는 것은 없어 보이는데.. 여튼 이번 Mashup에 출품되었다.
  • soZiety.com: Find people to practice languages
  • Smitter: Skype Mood Message to Twitter. 이 서비스는 Skype의 무드 메시지에 들어있는 내용을 Twitter에 자신의 상태로 바로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 suSkype: Social Network
  • Twitter for Skype: See twitter updates, and make them. 본 서비스도 오래 전에 본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적이 있는데, Skype 채팅창에서 Twitter로 글을 올릴 수 있는 서비스이다. 위에서 소개한 Smitter와는 방향이 반대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Twitter의 경우 API가 공개되어 수많은 매쉬업이 출현했는데, 인스턴트 메신저(Live messenger, Skype 등)에서 채팅창을 통해 글을 올릴 수 있는 기능이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국내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인 미투데이의 경우에도 API를 오픈해서 MSN에서 미투데이에 글을 올릴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 Unype: Your Skype buddies on Google Earth (3D)

이번 컨테스트에 출품한 작품이 총 14개인데, 지난 6월말까지였던 제출 시한을 8월말까지 연장한 걸 감안하면 너무 적은 수가 출품된 듯 하다. 요즘 Web2.0에서 개방과 공유, 특히 API 개방을 통한 Mashup이 많은 사람들로부터 관심을 받고 있지만, 역시 VoIP 서비스와 연계된 Mashup은 아주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반증이 될 듯 하다. 세계 최대 VoIP 사업자인 Skype의 상황이 이런데.. 국내에서 VoIP와 웹 서비스가 결합될 수 있는 토양은 과연 존재하는 것일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VoIP=통신 서비스"라는 등식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 사실인데, 우선 "VoIP=실시간 음성 컨텐츠"라는 인식 전환을 위한 무엇인가가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