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왈츠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왈츠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7년 2월 6일 화요일

발렌타인데이까지 공짜전화 즐기세요..


플래쉬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왈츠넷에서 2월5일부터 14일 발렌타인 데이까지 무제한 공짜전화
및 SMS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왈츠넷은 깨비메일로 유명한 나라비전에서 제공하는 VoIP 서비스인데, 국내에서는 최초로 플래시
기반의 소프트폰 서비스를 선뵌 곳입니다.
제가 지난 포스트에서 GizmoProject가 플래쉬 기반의 웹투콜 서비스인 GizmoCall을 오픈했다
소식을 전해드렸는데, 누군가 제 방명록에 왈츠폰이 세계 최초로 플래쉬 기반 VoIP를 제공한것이
아니냐는 물음을 주셨더군요..
사실 왈츠넷이 세계 최초의 플래쉬 기반 VoIP 서비스를 제공했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사실은 잘
모르겠네요.. 여튼 UI를 플래쉬 기반으로 가져가는 것이 사용자에게 풍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는 것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최근 플래쉬를 소유하고 있는 Adobe에서 직접 VoIP 관련 업체를 인수해서 Acrobat Reader 등에
VoIP를 탑재할 것이라고 하니.. 플래쉬 UI를 가진 소프트폰 서비스는 앞으로 계속 출현할 것 같습니다.

이번에 왈츠넷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즉 공짜 통화/SMS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왈츠넷 회원가입뿐만
아니라 상품을 구매해야 한다고 합니다. 회원 가입만 한다고 무조건 공짜로 이용할 수 있는 건 아니고
왈츠넷 상품을 구매할 경우 발렌타인날까지 공짜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국제전화까지 모두 공짜로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습니다.

waltz_event

왈츠넷은 플래시 기반의 소프트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 두 가지 면에서 새롭습니다.

첫째, ASP 서비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인터넷전화 설비를 갖추지 않은 다른 업체도 왈츠넷의 인프라를 이용해서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어느 수준의 ASP 서비스를 제공하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는데.. 여튼 ASP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것만으로 충분히 가치를 가질 수 있는 대목입니다.
둘째, 블로그를 마케팅 도구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현재 블로그에 서비스 및 이벤트를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있고.. 올블로그에 노출시켜서 다른 사람들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얼마나 효과적인지는 역시 알 수 없지만.. 아주 신선한 시도이며 다른 업체에서도 본받아야 할 점일
것입니다.
물론 왈츠넷 자체가 VoIP를 인터넷 비즈니스로 본다는 기본 전제를 깔고 있다는 점 때문에
블로그 마케팅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왈츠넷은 제가 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일부를 저보다 먼저 구현을 해서 대중과 소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욱 발전하길 기원합니다.


2007년 1월 25일 목요일

[Daily News] Adobe, VoIP 진출 등...


Vonage V-Access에 대한 차가운(?) 반응

지난 포스트에서 Skype Pro에 대항하기 위해서 Vonage에서 V-Access라는 새로운
기능을 발표했다고 했는데.. 현지에서도 이에 대한 반응이 아주 냉정하군요..

Vonage's Tough Road Ahead (by GigaOM)
V-Access is real yawner (by VoIP Watch)
V-Access, Earthlink Deals? (by Zdnet)

Vonage가 발표한 V-Access가 "하품이 난다"라고까지 표현하고 있는데...
올해 Vonage가 가야 할 길이 정말 멀고 험난할 것 같아여.. 망하지는 않을런지..

Adobe, P2P 기반의 VoIP서비스 개시

Acrobat Reader/Flash 등으로 유명한 Adobe가 VoIP와 P2P 등으로 자신의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고 합니다.

Adobe and its P2P Ambitions (by GigaOM)

이런 전략의 일환으로 amicima라는 회사를 인수했는데요.. 이 회사는 P2P 기반의 VoIP인
amiciPhone이라는 걸 가지고 있습니다.

YouTube를 비롯한 수많은 동영상 제공업체의 플레이어가 바로 Adobe가 인수한 매크로미디어의
플래쉬 기반으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Flash기반의 VoIP Softphone이라...
Skype도 P2P기반의 자체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구현했는데.. Adobe도 그런 전철을
밟으려고 하는지.. 표준은 준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에서도 플래쉬 기반의 VoIP폰 서비스가 론칭되었는데 나라비전에서 제공하는 왈츠폰이라고 합니다. 관심있으신 분은 함 보세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포스트를 통해 좀 더 자세하게 분석해 볼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