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공동작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공동작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7월 9일 수요일

스카이프 연동 공동작업툴, 도큐미팅 오픈베타

오늘 소개드릴 서비스는 특별하다. 어제 메일을 통해 소개받은 내용인데, 스카이프와 연동해서 쓸 수 있는 공동작업툴인 "도큐미팅(DocuMeeting)"이라는 서비스이다. 스카이프로 통화를 하면서 문서를 공유하거나 화이트보드 등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미 스카이프 엑스트라(Skype Extras)에 공동작업(Collaboration)이 가능한 여러 서비스가 있는데, 오늘 소개드리는 도큐미팅은 국내업체인 사이먼소프트에서 개발한 것이다.

현재 스카이프 엑스트라에 공동작업(Collaboration)툴로 20개가 넘는 서비스가 등록되어 있고, 본 블로그에서도 공동작업툴인 유그마(Yugma)에 대해서 소개한 적이 있는데.. 해외에서 스카이프를 업무용으로 쓰는 사람도 많다고 하는데, 이런 공동작업툴이 큰 도움이 되고 있는 듯 하다

일단 설치는 해 봤는데.. 공동작업툴이라 혼자서는 테스트를 할 수 없어서 실제 이용해 본 소감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다시 전해드리도록 하겠다.

문서와 웹을 공유할 수 있고, 화이트보드도 지원하고 화면캡쳐 기능도 제공한다고 하니 관심 있으신 분은 직접 설치해서 이용해 보시기 바란다. (제공 기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시고, 여기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전해 주신 소식에 의하면 도큐미팅은 처음에 구글토크를 겨냥하다가 시장성을 고려해서 스카이프용으로 개발했다고 한다. 전세계 스카이프 유저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다국어를 지원하며, 이번 오픈베타의 경우에는 국내에서만 진행된다고 하니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기 바란다.

제가 지금까지 스카이프 관련 여러 소식을 전해 드리면서 한국 개발회사 또는 개발자와 관련된 내용은 없었는데, 이번에 공식적으로 처음 전해 드리는 것 같다. 국내에 스카이프와 같은 개방형 VoIP 서비스가 없다는 점도 아쉽지만, 스카이프와 같은 개방형 서비스의 API를 이용해서 엑스트라와 같은 Addon을 개발하는 모습도 별로 없는 것 같아서 늘 안타까웠는데, 앞으로 도큐미팅과 같은 서비스가 많이 출현하기를 기원한다.

도큐미팅은 아직 스카이프 엑스트라에는 등록하지 않았고, 오픈 베타 서비스를 거치면서 등록할 예정이라고 한다. 관심있으신 분은 이용해 보시고 댓글이나 트랙백으로 의견 많이 주시기 바란다. 참고로 저의 스카이프ID는 mushman1970이니 저와 함께 테스트 해 보실 분은 연락 주시길..


2008년 2월 29일 금요일

구글, 공동작업툴 사이트 오픈

구글이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할 수 있는 구글 사이트(Google Sites) 서비스를 공개했다. 이 서비스는 구글앱스(Google Apps)의 새로운 기능으로 추가되었는데, 구글에서 인수했던 위키(Wiki) 서비스인 잣스팟(JotSpot)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회사 또는 단체는 서버를 직접 구축하지 않고 구글앱스를 이용해서 메일, 문서, 인스턴트 메신저, 일정관리 등의 기능을 자신의 도메인을 이용해서 구축할 수 있다. 이번에 구글에서 추가한 "사이트" 기능을 이용할 경우 웹을 통한 공동작업도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사 내의 프로젝트 관리 페이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구글 사이트에서는 구글의 일정관리(Calendar), 구글문서에서 지원하는 워드/스프레드쉬트/프리젠테이션 파일을 자유롭게 첨부할 수 있으며, 유튜브 동영상 및 구글의 다양한 가젯 프로그램도 원클릭으로 삽입할 수 있어서 역동적인 페이지 구성이 가능하다.

아래는 구글에서 추천하는 사이트 구성의 예인데, 사내 인트라넷/팀프로젝트페이지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 Company intranet -- http://sites.google.com/a/organic-city.com/intranet/Home
* Team project -- http://sites.google.com/a/altostrat.com/project-eggplant/Home
* Employee profile -- http://sites.google.com/a/altostrat.com/jkraus/Home
* Classroom -- http://sites.google.com/a/googleclassrooms.org/mrs-richau/Home
* Student club -- http://sites.google.com/a/googleuniversity.org/ski-club/Home

구글 사이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구글앱스에 등록을 해야 하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미 구글앱스 계정을 가지고 있는 회사나 단체의 경우 관리자페이지의 "Service Setting" 탭에서 "서비스 추가(Add more services)"를 눌러 사이트를 선택하면 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구글앱스 관리자 페이지의 차세대 버전(Next Generation Version)에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구글앱스 한글 버전에는 이 기능을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일단 언어를 영어로 선택한 다음 Domain Settings>General 탭에서 관리자 페이지를 차세대 버전으로 선택하면 된다.

구글 사이트 서비스는 구글앱스를 이용하면 도메인 당 10GB의 용량을 기본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중소규모 회사나 단체에서는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충분한 용량으로 판단된다.

국내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 서비스 호스팅 시장을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 구글 사이트 기능 추가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해진다. 개인적으로 너무 기다렸던 기능이라, 기능 면에서는 구글이 더 나을 것 같은데.. 계속 지켜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