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피드버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피드버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8월 25일 월요일

RSS 피드에 애드센스 적용 완료

지난 주에 자신의 RSS 피드에도 광고를 적용할 수 있는 피드용 구글 애드센스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 신청을 했는데.. 어제 드디어 제 RSS에 애드센스 광고가 게재되었다. 구글 계정과 피드버너 계정을 연결시키는 자동화된 프로세스가 없어서 메일을 보내 신청을 했는데, 거의 일주만에 적용이 되었다.

자신의 RSS에 피드에 구글 애드센스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피드버너에 자신의 RSS 주소를 등록하고 별도의 피드 주소를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블로그의 원래 RSS주소는 http://mushman.co.kr/rss이지만 피드버너에서 받은 새로운 피드 주소는 http://feedproxy.google.com/voiponweb20 이다. 원래 피드버너 주소는 http://feeds.feedburner.com/voiponweb20 이었는데.. 피드버너가 구글에 인수된 후 구글 계정과 통합되면서 피드 주소도 바뀌었다. 관심 있으신 분은 피드버너에서 새로운 RSS 주소를 받아 보시길..

RSS 피드에 어떤 식으로 광고가 출력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구글리더로 내 블로그를 구독해 보았다. 아래와 같이 468*60 싸이즈의 텍스트 광고도 보이고..

애드센스 피드 광고 적용

468*60 싸이즈 이미지 광고도 간간히 보인다.

애드센스 피드 광고 적용(2)

심지어 250*250 싸이즈 정사각형 이미지 광고도 눈에 띈다. 지난 번에 소개해 드린대로 피드용 애드센스 광고는 광고크기를 지정할 수가 없고, 자동으로 조정된다.

애드센스 피드 광고 적용(3)


애드센스 광고 관리 메뉴에 가 보니 아래와 같이 피드용 광고 단위도 관리할 수 있다. 광고설정을 수정하거나 광고게재를 중지하는 등의 기능을 여기에서 할 수 있다. 또 한가지 눈에 띄는 것은 피드 통계 보기 기능인데, 여기를 클릭하면 피드버너 페이지로 이동해서 구독자 및 방문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애드센스 광고 관리


애드센스 보고서에 가보면 아래와 같이 피드용 애드센스에 대한 통계도 확인할 수 있다. 오늘 4시부터 노출된 광고가 벌써 100번이라고 하니.. 생각보다 많은 분이 제 피드를 봤다고 할 수 있겠다. 중요한 것은 아무도 광고를 클릭하지 않았다는 점..ㅋㅋ

애드센스 보고서

RSS 피드에도 광고를 게재해서 그런지 웬지 뿌듯한 느낌은 드는데, 과연 피드용 애스센스 수익이 얼마나 발생할 지 모르겠다. 현재 구독자 수가 600명 가까이 되는데.. RSS를 구독할 정도라면 무의식 중에 광고를 클릭할지 모르겠다. 늘 같은 IP주소에서 이용하시는 분들이 많을텐데.. 혹시 클릭하면 부정클릭 논란에 빠지지 않을런지..

애드센스와 피드버너를 동시에 이용하시는 분들은 피드용 애드센스를 한 번 설치해 보시기 바란다. 광고 수익은 너무 기대하지 마시고..ㅋㅋ


2008년 8월 17일 일요일

RSS 피드용 구글 애드센스 출시

해외 VoIP 블로그를 구독하면서 RSS 피드에 구글 애드센스 광고가 게재된 것을 본 적이 있는데, 드디어 구글에서 피드용 애드센스를 공식 런칭했다. 구글은 작년에 RSS Feed를 전문적으로 관리해 주는 서비스인 피드버너(Feedburner)를 1억 달러(약 1,000억원)에 인수한 바 있으며, 이 때부터 피드버너에서 제공하는 RSS 피드에 구글 애드센스를 적용할 것이라는 추측이 나돌았다. 구글은 원래 피드버너에서 제공하던 광고 서비스인 FAN(Feedburner Advertisement Network)을 중단하고, 자사의 광고 서비스인 애드센스를 피드영역에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구글 애드센스 설정 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컨텐츠 및 검색용 애드센스 외에 '피드용 애드센스'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생긴 걸 확인할 수 있다.

피드용 애드센스

피드용 애드센스 광고를 아래와 같은 옵션을 통해 가져올 수 있다. 현재 광고크기는 게시자가 선택할 수 없고 468*60이나 300*250 사이즈 중에 자동으로 선택되며, 광고유형(텍스트, 이미지), 광고 게재 위치(피드 상단 또는 하단), 자신이 원하는 색상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피드용 에드센스 설정

피드용 애드센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 피드버너(Feedburner) 계정을 자신의 구글 계정으로 옮기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아직 자동화된 프로세스가 없기 때문에 adsense-support-aff@google.com에 자신의 피드버너 유저명과 자신의 구글 애드센스용 이메일 주소를 적어 메일을 보내야 한다.

구글 계정 페이지에 접속해 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피드버너도 생겨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는데.. 메일 보낸 것이 확인이 되어서 생겼는지 모르겠다.

Google Accounts

위에 있는 피드버너를 클릭해 보면 기존 www.feedburner.com이 아니라 새로운 주소인 http://feedburner.google.com으로 접속된다. 피드 주소도 기존 http://feeds.feedburner.com/name으로 되어 있던 것이 http://feedproxy.google.com/name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name에는 자신이 원하는 주소를 지정할 수 있다.

저의 피드 주소도 http://feedproxy.google.com/voiponweb2 로 변경을 했는데.. 이건 어떤 식으로 활용해야 할 지 모르겠다. 기존 Feedbuner 주소에 있던 내용이 그대로 옮겨 가는 것인지도 잘 모르는 상태이다.

여튼 구글 계정에 피드버너라는 항목은 생겼지만, 피드용 애드센스는 아직 접수대기 상태로 나오고 있는 상태이다. 관심 있으신 분은 자신의 RSS 피드에도 구글 애드센스를 한 번 적용해 보시기 바란다.

요즘 구글 애드센스 단가가 떨어져서 애드센스의 인기가 예전과 같지 않은 가운데, 피드용 애드센스가 출시되었는데.. 향후 어떤 모습을 보일지 궁금하다. 블로그 방문자보다 구독자 수가 적은 것이 사실이고.. 항상 같은 PC(IP주소)에서 접속할 가능성이 큰데.. 부정클릭 문제는 어떻게 되는 것인지.. 이것 참 궁금한 게 한 두가지가 아니다.

혹시 RSS 구독기를 통해 제 블로그를 보시는 분 중에 구글 광고가 보이면 얼릉 연락 주시기 바란다.

PS>최근 구글에서 출시한 놀(Knol)에도 애드센스를 노출할 수 있는 등 애드센스가 적용되는 범위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인데.. 정말 단가가 너무 떨어졌다.ㅠㅠ

업데이트> 제 RSS 피드에 드디어 애드센스 광고가 게재되었습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2007년 12월 7일 금요일

버블2.0 동영상, 2.0 시대 돌아 보기

아래 동영상은 요즘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2.0 비즈니스가 버블2.0이라는 주장을 담고 있는 것으로, 현재 유튜브에서 30만명 이상이 본 것입니다. 요즘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웹2.0에 대한 열풍이 버블2.0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닌가라는 의구심을 제시합니다.

제 블로그에서 Social VoIP의 진원지로 지목한 페이스북(미국의 대표적인 자동차업체인 포드의 시가총액이 168억달러인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투자받을 때 150억달러 가치 인정받음),  구글이 1억달러에 인수한 피드버너, 구글에서 16억달러에 인수한 유튜브, 제 블로그의 주요 관찰 대상인 스카이프(이베이가 26억달러를 들여 인수했는데, 최근 너무 높은 가격에 인수했다고 시인) 등이 주요 표적(?)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Here comes another bubble"이라고 주장하는데, 저도 일부 공감이 되는군요...

마지막에 보면 블로그에 대해서 꼬집는 부분도 있는데.. 이제 본격적으로 블로그 문화가 꽃을 피우고 있는 한국에 사는 블로거의 입장에서 잘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사실 인터넷전화(VoIP) 산업군으로 범위를 좁혀 보더라도, 요즘 미국에서는 Social VoIP라는 곳에 뭉칫돈이 쏟아져서 저의 부러움을 사고 있습니다. 물론 기술력에 비해 과도하게 투자받는 것에 배가 아프면서도 국내에서도 이런 투자가 이루어지길 바라는 측면도 있었는데..

블로그와 Social VoIP.. 요즘 저를 지탱해주고 본 블로그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주제인데, 이 두가지 모두 버블 2.0의 타겟으로 지목이 되었군요. 제 자신에 대해서 좀 더 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버블2.0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