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Google Reade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Google Reade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5월 6일 화요일

구글리더 노트 통해 공유 쉬워진다

웹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고 해당 내용을 바로 구독할 수 있는 구글리더(Google Reader)에 편리한 기능이 또 하나 추가되었다. 이번에 추가된 기능은 "Notes"라는 것인데, 자신이 구독하는 글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 등을 메모 형식으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자신이 구독하는 글을 나중에 다시 보려고 하면 그 글을 다시 찾는 것이 힘든 경우가 많은데, 자신만의 메모를 남겨 놓으면 다시 찾을 때 간편하게 찾을 수 있을 듯 하다. 특히 영문 사이트의 경우 나중에 그 글을 다시 찾는 것이 여간 힘든 일이 아닌데, 자신만의 메모를 남겨 놓으면 아주 그만이다.

노트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아래 그림과 같이 구독하는 포스트 하단에 있는 "Share with Note" 버튼을 누르면 자신의 의견을 적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노트를 적을 때 다른 친구들과 공유한다는 옵션을 선택하면 내 친구들도 내가 남긴 노트를 같이 볼 수 있다.

이렇게 의견을 남긴 포스트는 왼쪽에 있는 Your Stuff>Notes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메모를 입력한 글은 아래 그림과 같은 모습으로 확인할 수 있다.

Google Reader Notes 2

이번에 구글에서 공개한 구글리더 노트 기능 중 가장 맘에 드는 것은 구글리더로 구독하는 글뿐만 아니라 일반 웹사이트에 있는 글도 아래 그림과 같이 메모를 해서 다른 친구들과 공유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Your Notes 메뉴에서 "Note in Reader"라는 플러인을 웹브라우저에 설치하면 된다. 설치한다기 보다는 해당 기능 버튼을 드래그해서 브라우저의 툴바 영역에 갖다 놓으면 끝이다.

Google Reader Notes 3

블로그를 구독하다가 해당 포스트에 링크로 걸려 있는 곳으로 이동했다 스크랩하고 싶은 때가 한 두번이 아닌데, 그 때마다 해당 블로그를 구독할 수 없어서 딜리셔스 등으로 북마킹해 놓곤 했는데 이제는 구글리더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외부에 있는 글을 스크랩할 때 태그를 지정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가 될 것 같은데, 아직 이 기능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구글리더에서 자신이 구독하고 있는 글과 노트를 통해 구독하지 않는 글 중 자신이 공유하길 원하는 것을 모아서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는 "Shared Items" 기능도 보다 강화되었다. 아래 그림과 같이 공유 페이지의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었고, 자신의 공유 글을 블로그 등에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는 클립 기능도 제공한다.

Google Reader shared items upgrade

제가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길 원하는 것과 거기에 노트를 달아놓은 페이지는 아래와 같다. 제가 구독하는 VoIP 및 인터넷 서비스 블로그 포스트 중에 다른 분들과 공유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을 계속 업데이트할 예정이니, 관심 있으신 분은 참고하시기 바란다. 구글리더에 친구로 등록하면 별도의 아래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 자신의 구글리더 내 Friend's Shared Items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고 하니 친구를 원하시는 분은 댓글로 연락 주시길...

http://www.google.co.kr/reader/shared/17488724927690812308

블로그 등에 클립으로 삽입하면 아래와 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맨 위에 있는 포스트는 전자신문의 VoIP 관련 기사를 노트를 통해 스크랩한 것인데, 아직 한글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는 듯 하다.

지난 번에 구글의 소셜북마킹 서비스로 구글노트(Google Note)가 거듭나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드렸는데, 구글리더에 노트 기능이 추가되면서 구글리더도 소셜북마킹 서비스로 손색이 없게 되었다. 구글리더를 자주 사용하는 분이라면 굳이 구글노트를 이용하지 않아도 될 정도이다.


2008년 1월 22일 화요일

내가 구독하는 글, 또 누가 볼까?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가장 먼저 하는 것은 일단 남이 쓴 글을 많이 읽는 일이다. 옛날 같으면 내가 관심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웹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해야 했지만, 블로그가 출현하면서 RSS, ATOM 등과 같은 피드(Feed)가 각광을 받으면서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 피드리더(Feed Reader)를 통해 내가 원하는 글만 구독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피드를 통해 내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볼 수 있을뿐 아니라, 또한 피드를 통해 내가 쓴 글을 다른 사람에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이 생겼다.

올블로그, 블로그코리아 등 메타블로그 사이트에 내 피드를 등록해 두면, 내가 특별한 액션을 하지 않아도 내 글이 게재되고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읽히는 세상이다. 블로그 자체가 미디어가 될 수 있는 힘은 바로 피드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평소 내가 관심있는 인터넷전화(VoIP), 구글 등의 웹2.0 정보를 얻기 위해서 구글에서 제공하는 피드리더 프로그램인 구글리더(Google Reader)를 통해 관심있는 사이트를 등록해 두고 글을 읽고 있는데, 문득 "내가 읽고 있는 이 글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을지" 궁금했던 적이 있다. 역시 이런 생각을 다른 사람들도 하고 있어서 특정 글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구독하는지 보여주는 서비스가 등장했다.

오늘 소개할 서비스는 리드버너(ReadBurner)인데, 구글리더의 공유아이템 기능을 이용해서 구글리더 독자가 공유한 아이템을 수치화해서 보여준다.

readburner main

구글리더를 통해 구독하는 글 하단에 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친구와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공유를 하게 되면 자신의 공유아이템(Your Shared Items)에서 자신이 공유한 글 목록과 함께 공유글의 주소를 얻을 수 있다.

구글리더 공유기능
<구글리더 구독 글에서 공유하는 기능>


구글리더 공유 아이템 보기

리더버너는 바로 이 공유글을 모아서 어떤 글이 구글리더 구독자 사이에서 가장 많이 공유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현재 이 서비스는 오스트리아의 Alexander Marktl라는사람이 개인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앞으로 어떤 식으로 서비스가 발전해갈지 주목된다. 구글 내부에서 자체 프로젝트로 추진한다면 훨씬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 서비스 외에도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으로 먼저 출시된 피드헤드(FeedHeads)라는 유사한 서비스가 있다. 이 서비스 또한 구글리더와 뉴스게이터(NewsGator)의 공유글을 수집하여 공유가 많이 된 글 순으로 리스트를 제공한다. 한가지 더 특징이 있다면 페이스북의 소셜네트워크 기능을 첨가하여 전체 리스트 외에 자신의 친구나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에서 어떤 글이 공유되고 있는지를 볼 수 있는 기능이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 한RSS에 이 기능을 적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라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내가 RSS를 통해 남의 글을 구독하는 것은 관심이 있기 때문이며, 메타블로그 사이트 등에서 우연히 읽는 글에 비해 관심도가 훨씬 높다. 내가 읽은 글 중에 다른 사람들도 같이 보면 좋은 글을 공유하고, 한RSS에서 이러한 공유글을 모아서 또 다른 리스트로 보여준다면 이 자체가 메타블로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요즘 한RSS가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런 기능 한 번 적용해 보심이..물론 다른 리더 프로그램에서 시도하셔도 좋을 듯 하다.

단, 위의 리드버너가 구글의 정보를 외부에서 자유롭게 이용하듯이, 이런 기능을 제공하는 곳은 API를 공개해서 새로운 매쉬업이 출현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좋을 듯 하다.

내가 구글리더로 구독하는 글을 얼마나 많은 사람이 공유를 하고 있는지 궁금하신 분은 위 서비스 이용해 보시기 바란다.


2007년 9월 19일 수요일

구글 리더-음성검색 상용화

어제 오늘 구글리더(Google Reader)의 구글연구소(Google Labs) 졸업 및 한글 지원 소식과 관련해서 많은 분들이 소식을 전해 주고 있다. 구글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구글리더가 다국어를 지원하고 구글랩스를 졸업했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지원되는 언어는 영어를 비롯해서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독어, 영국영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그리고 한글이다. 구글의 다른 서비스에 비해 적용 언어의 범위가 좁은데 한글로 포함되어 있는 걸로 봐서 한국 시장에 대한 구글의 의지를 간접적이나마 읽을 수 있는 듯 하다.

아래 그림은 필자가 구독하고 있는 구글리더의 스크린샷으로 한글을 적용했을 때의 모습이다. 사실 내가 한글을 선택하지도 않았는데..내 PC의 IP주소를 인식해서 한글로 뿌려 주고 있다. 설정(Setting) 페이지에 가도 아직 언어를 선택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어떻게 영문으로 바꿀 수 있는지 모르겠다. 구글 서비스 여러 군데를 돌아다니다가 들어가면 영문으로 표시되는 경우도 있는데, 규칙이 있는지는 알 수 없는 상태이다. 혹시 아시는 분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 주시기 바란다.

한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한글 버전에 "Offline" 기능은 메뉴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 기능은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도 자신의 구독하는 최대 2000개의 포스트를 PC에서 볼 수 있는 것인데, 웬일인지 한글 메뉴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여튼 최근에 학수고대했던 검색 기능도 추가되는 등 온라인 Feed Reader의 정상권으로 구글이 진입하고 있는 듯 하다.


구글리더 한글지원


한가지 소식을 더 전해드리자면, 또 다른 연구소 프로젝트였던 구글음성검색 서비스(GOOG-411)도 연구소 생활을 청산하고 정식 서비스가 되었다. 이 서비스에 대해서는 지난 번에 소개한 적이 있는데, 모바일폰에서 음성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곳을 말하면 구글에서 자동으로 연결시켜 주는 서비스이다. 검색과 음성인식을 결합한 서비스로 이번에 연구소 생활을 청산함으로써, 마이크로소프트의 Tellme와 본격적인 경쟁을 예고하는 듯 하다.


 

 

구글음성검색과 관련된 내용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구글 음성 검색 서비스 오픈

Google은 당신의 목소리를 원한다!!!


2007년 9월 8일 토요일

구글리더에서 Del.icio.us로 바로 북마크하기

구글리더로 구독하는 포스트 중 나중에 다시 참고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물론 구글리더에서 제공하는 별표기능을 이용해서 다시 볼 수도 있고, 며칠 전에 추가된 구글리더의 검색 기능을 이용해서 이전 포스트를 찾을 수도 있다.

하지만 구글리더로 구독하는 건 내가 관심있게 지켜보는 블로그(저의 경우 주로 외국 VoIP 블로거의 글)이고, 내가 구독하지 않더라도 세상에는 아주 유용한 정보가 많기 때문에.. 내가 관심있는 글을 따로 모아두는 것은 아주 유용한 것이 될 것이다. 바로 이런 욕구를 해결해 주는 것이 흔히 말하는 "소셜북마킹"이라고 하는 것인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야후에서 인수한 Del.icio.us가 될 것이다.

필자도 딜리셔스로 북마크를 관리하고 있는데 구글리더로 구독하고 있는 포스트를 딜리셔스로 바로 올릴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었는데.. 드디어 기능을 찾아냈다.


이 기능을 지원하는 곳은 바로 Greasemonkey의 "Google Reader + Del.icio.us" 스크립트를 설치하면 된다. 이 스크립트는 이전에도 있었는데 그 때는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었고, 이번에 다시 업데이트가 되면서 정상적으로 동작을 한다.

한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Firefox에서만 Greasemonkey의 자바스크립트가 동작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기능이 필요하신 분 중에 아직 파이어폭스를 설치하지 않으신 분은 아래 링크에 따라 먼저 다운을 받아서 파이어폭스를 설치해야 한다.


 

Firefox를 설치하고 난 다음에는 Greasemonkey Addson을 설치해야 한다. 여기를 눌러 다운 받아서 설치하시기 바란다. Greasemonkey Addson을 설치하고 난 다음 위에서 소개한 "Google Reader + Del.icio.us"를 다운받아서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설치가 완료된 후 Google Reader에 들어가 보면 각 포스트 하단에 나오는 기능 중 "Add to Del.icio.us" 버튼을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아래 그림 참조) 이 버튼을 누르면 태그와 설명을 추가해서 바로 딜리셔스에 북마크로 등록을 할 수가 있다.


add to del.icio.us


현재 Greasemonkey는 아주 유용한 스크립트가 굉장히 많은데 개인적으로 유용한 것을 하나만 더 소개하자면..Flickr Gmap Show이다. 이것은 Flickr에 올린 사진을 Google Map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다.


2007년 9월 6일 목요일

구글 리더 검색 기능 추가

오늘 구글리더(Google Reader)에 들어가서 VoIP 소식을 살피던 도중에 예전에 보지 못한 기능이 추가된 것을 발견했다. 개인적으로 구글 리더를 사용하면서 가장 불편하다고 생각했던 부분이 바로 "검색"인데, 오늘 드디어 구글 리더에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다.  

구글리더는 내가 관심있는 블로그 또는 사이트를 굳이 방문하지 않고, 전세계 VoIP 뉴스를 거의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개인적으로 굉장히 좋아하는데, 그 동안 검색을 지원하지 않아서 지난 글을 참고하기 위해서 찾는 것이 정말 고역이었다. 물론 구글에서 제공하는 개인맞춤형 검색인 Google Coop을 이용해서 내가 구독하는 VoIP 블로그만 등록해 놓고 검색할 수도 있는데, 이것도 매번 사이트를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했다. (제가 만든 my Google reader Search는 여기를 방문해 보시기 바란다.)



(출처 : Google Reader 공식 블로그)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을 하면 되는데, 검색범위를 좁힐 수 있는 몇 가지 옵션을 제공한다.

  • 별표 내 검색 : 자신이 유용하다고 판단해서 별표를 달아 놓은 포스트에서만 검색
  • 공유 내 검색 : 자신이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서 Share로 지정해 놓은 포스트 내에서만 검색
  • Folder/Tag 내 검색 : Feed를 등록할 때 자신이 정한 Folder나 개별 포스트에 자신이 정한 Tag 내에서만 검색
  • 특정 블로그 내 검색 : 자신이 구독하고 있는 특정 블로그 내에서만 검색

개인적으로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포스트에 대해서 별표를 달아 놓고, 검색에 대한 아쉬움을 달랬는데.. 이제 검색을 통해서 원하는 정보를 비교적 신속하게 찾을 수가 있게 되었다.


구글리더 검색 기능을 기다리셨던 분은 얼릉 가서 확인해 보시기 바란다.


PS> 개인적으로 구글리더에 북마크 기능이 생기면 좋겠다. 내가 본  좋은 포스트를 딜리셔스 등에 북마크하는 기능이 있으면 정말 금상첨화(Icing on the Cake)가 될 듯 한데.. 그리스몽키에 이런 게 있다고 하던데.. 구글에서 공식적으로 할 계획은 없는지 모르겠다.


2007년 5월 10일 목요일

구글리더 메일보내기 기능 업데이트

저는 해외 블로거들이 전하는 VoIP소식을 Google Reader를 통해서 구독 중인데, 오늘 Google Reader를 보다가 메일 보내는 기능이 업데이트된 걸 발견했습니다.

업데이트되기 전에 메일 보내기 기능을 이용하면 별도의 팝업창이 떠서 보냈는데, 이번에 업데이트된 기능에는 해당 창 내에서 바로 보낼 수가 있다. 게다가 지메일의 연락처 정보를 자동 완성 기능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편리해졌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내가 추가로 적은 정보(Note)의 경우 아직 완벽하게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인데, 차츰 개선될 것으로 보여진다.

google_reader_email_update

메일을 받은 상대방쪽에는 어떤 화면이 표시될까? 업데이트하기 전에는 해당 글의 링크 정보만 메일 내용에 담겨 있었는데.. 이번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원문 내용이 고스란히 담긴 채 전달되는데 원문의 링크도 물론 같이 담겨 있다. 메일을 받은 사람이 굳이 원래 사이트에 이동하지 않더라도 바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구글리더 공식 블로그를 참고하시길..

구글리더에서 보낸 메일

이 외에 요즘 유행하는 닌텐도 Wii 게임기 내에서 구글리더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있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란다. 아래 동영상은 Wii에서 구글리더를 어떻게 사용하지에 대한 것인데.. 참고하세요..

 

Technorati tags: , , , ,

2007년 2월 17일 토요일

지메일에 구글 리더 통합하기


이 글은 웹초보님이 쓴 구글리더 100% 활용하기(4)에서 알려주신 지메일에 구글리더를
통합하는 글을 참고로 해서, 실제 제 지메일에 적용한 과정을 적습니다.

최근 지메일에 외부메일 확인 기능이 추가되어서 이제는 회사 메일까지 확인할 수 있어서
아주 편리해졌는데.. 이제는 구글 리더까지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다니..

일단 브라우저는 파이어폭스를 써야 하고, 파이어폭스 확장 기능 중 Greasemonkey
설치하면 된다.
그런 다음 THE SCRIPT (gmailreaderintegrator.user.js)를 클릭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지메일 화면에서 구글 리더를 볼 수 있게 된다.

Gmail-Reader-Integration

중간에 보면 Reader라는 메뉴가 생성이 되었고, 아래 리스트 박스에는 내가 분류해 놓은 태그를
볼 수 있어서, 태그별로 볼 수가 있다.

또한 이메일을 Collapse/Expand하는 기능이 있어서, 메일만 보거나 구글 리더만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별도의 창이나 탭을 띄우지 않고.. 한 화면에서 지메일과 구글 리더를 동시에 볼 수 있다는 것이
너무 편리하다.
지메일과 구글리더를 동시에 쓰시는 분들에게 꼭 추천해 드리고 싶다.

좋은 정보를 제공해 주신 웹 초보님께도 감사드린다.